#6. 빅-오 표기법 (Big-Oh Notation)
이전 #5의 마지막 문단, +1을 생략하는 이유에 이어서 진행된다. 빅-오 표기법T(n) 의 수식에서 실제로 영향력을 끼치는 부분을 '빅-오(Big-Oh)' 라고 부른다.이 영향력을 끼치는 부분만 표기하는 방법이다. 이전 +1 을 생략하는 질문을 다르게 생각해서+1 이 너무 작은 수치라 생략하는 거라면 +100, +500 과 같이 숫자가 커져도 똑같이 생략하는거냐?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. 이 대답을 하기에 앞서, 시간 복잡도 함수를 보는데 있어서 그 관점이 어디에 있냐 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.그 관점이 어딘가 하면 항상 가정하는 최악의 경우, 즉 데이터 표본이 셀 수 없을 많을 때 이다. 데이터 표본이 너무 많아서, 예를 들어 10만, 100만의 데이터 중 원하는 값을 찾는다고 할 때과연 +100, ..
프로그래밍 및 언어/자료구조 학습
2024. 10. 18. 03:34